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해지 보험이란 무엇이고, 무해지 보험의 가격은 어떻게 매겨지며, 어떤 분들이 이런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지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1. 무해지 보험
무해지 보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지환급금(해약환급금)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원래 보험을 해지하면 해약환급금(해지환급금)이라는 돈을 돌려주는데, 해약환급금이란 보험회사가 고객에게 진 빚으로,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 중 비용을 공제하고, 장래에 보험금, 환급금, 계약자배당금 등을 지급하기 위해 들고 있던 돈입니다. (고객이 보험을 해지하면, 보험회사는 고객에게 진 빚인 해지환급금(해약환급금)을 고객에게 돌려줄 의무가 있습니다.) 무해지환급형 상품이란, 보험회사가 이러한 빚을 좀 덜 지고, 고객에게도 보험료를 좀 덜 받겠다는 개념의 상품입니다.
2. 무해지 보험의 보험료 산출 (Pricing)
무해지 보험의 가격은 쉽게 말하면, 1번에서 설명한 해약환급금을 보험급부에 녹여서, 덜 지급해도 되는 환급금을 할인재원으로 사용하여 가격을 산출합니다. 해약환급금을 급부에 녹일 때 쓰는 주요 변수는 '적용해지율' 인데요, 이러한 적용해지율과 실제해지율과의 차이로 인해 보험회사가 이익을 보기도 하고, 손실을 보기도 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해지차라고 합니다.) 특히 보험료를 모두 지급한 시점인 '완납시점' 이 가까울 수록 고객은 해지를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크며, 완납시점 직후의 환급금이 크므로, 이 때는 또 해지하려는 경향이 커서, 이러한 고객행동이 해지율 산출에 녹아들어있게 됩니다. 가격 산출 계리사 입장에서는, 무해지 상품의 핵심 요소는 적정수준의 해지율 설정이고, 해지율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수익성이 나빠지는 대신 가격경쟁력이 뛰어나지고, 해지율을 낮게 설정하면 수익성은 개선되는 대신 고객들의 선택을 받기 어려워진다는 상충관계가 존재합니다.
3. 무해지 가입이 유리한 경우
2번에서 해지차 관련하여 설명을 드렸는데요, 고객 입장에서는 쉽게 말해서 무해지 보험을 가입한 뒤, 해지를 하지 않으면 가격인하의 효과를 오롯이 누릴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러므로, 완납시점까지 충분히 경제활동을 하실 것이 확실시 되는 분들에게 무해지 가입이 권장되며, 잦은 보험 리모델링을 하시는 분들께는 무해지 상품보단 갱신형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이는 만기, 납기만을 고려한 단순한 비교시의 추천사항이며, 보장받고자 하는 위험 및 개개인의 재무 상황에 따라서 권장되는 상품은 당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리] 항상 꿈꾸는 Actuary, 이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리리스크관리 - 경험위험률과 참조위험률의 비교 (0) | 2022.12.20 |
---|---|
계리사가 알려주는 IFRS17, IFRS17 도입 영향 (0) | 2022.12.18 |
계리사가 알려주는 보험료 산출의 이해 (0) | 2022.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