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리] 항상 꿈꾸는 Actuary, 이계리4

무해지, 저해지 보험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해지 보험이란 무엇이고, 무해지 보험의 가격은 어떻게 매겨지며, 어떤 분들이 이런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지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 1. 무해지 보험 무해지 보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지환급금(해약환급금)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원래 보험을 해지하면 해약환급금(해지환급금)이라는 돈을 돌려주는데, 해약환급금이란 보험회사가 고객에게 진 빚으로,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 중 비용을 공제하고, 장래에 보험금, 환급금, 계약자배당금 등을 지급하기 위해 들고 있던 돈입니다. (고객이 보험을 해지하면, 보험회사는 고객에게 진 빚인 해지환급금(해약환급금)을 고객에게 돌려줄 의무가 있습니다.) 무해지환급형 상품이란, 보험회사가 이러한 빚을 좀 덜 지고, 고객에게도 보험료를 좀 덜 받겠다는 개.. 2022. 12. 29.
계리리스크관리 - 경험위험률과 참조위험률의 비교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험회사가 사용하는 위험률을 구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아마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은 계리 쪽 업계에 오셨거나, 혹은 계리사를 준비하고 계시는 분일 것 같은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실무진 수준에서 경험위험률과 참조위험률을 구별하고, 경험위험률에는 왜 안전할증이 필요한지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1. 경험위험률 경험위험률이란 보험사가 자사의 경험통계를 기초로 산출한 위험률입니다. 보험사는 자사의 통계를 사용하여 프라이싱 하는것이 원칙이므로, 경험위험률은 보험료와 계약자적립금의 산출에 직접적으로 쓰이는 위험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경험위험률 산출에 쓰이는 경험통계는 그 집적기간(5년 내외)이 짧은 경우가 많아서 자료가 불충분합니다. 그래서 대수의 법칙이 적용되기 .. 2022. 12. 20.
계리사가 알려주는 IFRS17, IFRS17 도입 영향 안녕하세요. 지난 19년 IFRS17의 공개초안이 발표된 이후 드디어 2023년부터 IFRS17이 본격적으로 업계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오늘은 IFRS17에 대해 아주 개괄적인 내용만 좀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오늘 포스팅의 내용은 다소간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험업계 현업에 계신 분들께서 읽고 이해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IFRS17이란 무엇인가 IFRS17은 2017년 5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발행한 국제 재무 보고 기준입니다. 보험업계는 기존에는 보험부채 평가시 계약체결시점의 기초율을 적용하는 '원가 평가'를 적용하고 있었는데, IFRS17의 도입으로 이러한 보험부채가 '시가 평가'되게 바뀝니다. 이는 계약체결시점에 이미 적용된 할인율과 위험률을 사용하지 않고, 평가 시점 기준에 최선.. 2022. 12. 18.
계리사가 알려주는 보험료 산출의 이해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계리 이론에 친숙하지 않은 분들도 보험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해하실 수 있게 아주 간단한 형태의 프라이싱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문과출신으로 계리사에 합격하는 과정에서, 많은 수리적인 식을 언어로 바꾸어서 공부하곤 했습니다. 간단한 예로 보험료 프라이싱 하는 방식을 피자를 나눠 먹는 게임으로 이해했었는데요, 오늘은 이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1. 피자를 그냥 나눠먹는 상황 초등학교 저학년 산수 문제를 내 보겠습니다. 사람이 네명 있고, 이들이 피자를 한 판 공평하게 나눠먹는다고 한다면, 한 사람당 피자를 전체의 얼만큼 먹어야 될까요? 그렇죠. 네명 모두 1/4 만큼 먹었을 때, 공평하게 먹은 셈이 되겠죠. 하지만 이는 매우 단순한 상황에서의 정답입니다. 이 쯤.. 2022. 12. 17.